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HOME | 운영자에게 | 소개 | 사이트맵
철폐연대회원가입 | 비밀번호분실 
검색

0
 837   56   1
  View Articles

Name  
   철폐연대 
Homepage  
   http://workright.jinbo.net
Subject  
   펌> 도심의 막장서 18시간 근무 허리휜 최저생활
도심의 막장서 18시간 근무 허리휜 최저생활  
  
[한겨레] 전동차 청소 ‘최저임금’40대
김남희(가명·41·서울 강서구 방화동)씨는 서울의 한 지하철 종착역에서 전동차를 청소하는 ‘최저임금’ 노동자다. 김씨는 하루 18시간 이상, 한달에 보름 동안 일한다. 그렇게 일하고 받는 월급은 전체 노동자 평균임금의 3분의 1이다.

◇ 18시간10분, 뛰면서 노동=25일 아침 6시30분, 동료 한 사람과 짝을 이룬 김씨는 전동차 내부를 청소하기 시작했다. 김씨는 전동차 바닥과 선반에 흩어진 신문과 쓰레기를 거두었다. 버려진 신문지 등 쓰레기 무게만 10여㎏.

여덟량으로 편성된 전동차의 전체 길이는 160m. 전동차가 역에 머무는 2분 동안 쓰레기를 끌어안고 전동차 바닥에 묻은 음료수와 구토 자국을 바쁜 손놀림으로 닦아냈다.

김씨는 숨돌릴 틈도 없이 전동차에서 수거한 쓰레기들을 들고나와 치웠다.

쓰레기는 쓰레기통에 담고, 종이는 따로 모아 쌓아둔다. 늦은 밤마다 어김없이 나오는 오물은 따로 치워 버려야 한다. 한숨 돌리기가 무섭게 전동차는 계속 들어왔다. 김씨의 청소조는 다른 2조와 번갈아가며 하루에 전동차 200여대를 나눠 청소한다.

점심·저녁 한 시간씩 식사시간이 주어진다. 잠시 허리를 펼 수 있지만, 이때도 승강장이 있는 층을 벗어나면 시말서를 써야 한다. 바깥 공기 한번 쐬지 못하고 탁한 공기와 전자파에 시달리며 전동차를 청소한 김씨는 다음날인 26일 0시40분 퇴근했다. 김씨는 26일 하루를 쉰 뒤 27일 아침 6시30분 다시 같은 일을 시작한다.



◇ 월 60만원에 파스값만 5만원=김씨가 받는 돈은, 국가가 인정하는 ‘최저임금’인 56만7260원에 퇴직금 5만원과 식대 2만원을 더한 63만7260원이다.

하지만 일이 고되다 보니 김씨와 동료들은 한 달에 한 차례 정도는 결근을 하는 게 보통이다. 김씨가 쉬는 날, 대신 전동차를 닦는 일용직 아주머니의 일당 4만∼5만원도 김씨가 책임져야 한다. 그래서 김씨가 실제 한 달에 손에 쥐는 돈은 60만원에 못 미친다.

남편과 이혼한 김씨는 아들(18)과 둘이 보증금 50만원, 월세 20만원짜리 반지하 단칸방에 산다. 월세와 수도·전기·가스요금 12만원 정도를 내고 나면 월급의 반이 떨어져 나간다. 파스값만 한달에 5만원, 침 맞는 비용이 또 2만원이다.

이렇게 쓰고 남는 20만원으로 김씨와 그의 아들은 매일 밥상에 오르는 쌀과 김치·된장찌개 반찬을 장만한다.

◇ “조금만 더 받는다면…”=김씨의 열여덟살 아들은 의욕을 잃고 온종일 집에만 있다. 학원은커녕 등록금조차 제때 내지 못해 고1 때 자퇴했다. 김씨는 충북 청주에 사는 아버지 얼굴을 10년째 못 봤다. 고향에 내려갈 돈이 없었다.

얼마 전까지 김씨를 괴롭히던 치통은 스스로 잦아들었다. 병원에 못 가고 참다보니 어느새 깨끗이 썩어 더는 아프지도 않았다.

“노조에서는 9월부터 76만6140원씩 최저임금을 받을 수 있도록 힘을 쓴다는데….” 김씨는 “월급이 오르면 아들을 직업학교에 보내고, 고향에 계신 부모님도 뵈러 가고, 정말 아플 땐 병원에도 가고 싶다”며 말끝을 흐렸다. 벌써 8년째 몸이 부서지도록 일만 해온 최저임금 노동자의 바람은 너무 소박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 [자료] [이슈페이퍼] 최저임금 결정추이를 통해 살펴본 최저임금제도의 문제점 2014/07/28
  :: [주장] 최저임금, 결정기준과 구조를 바꾸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2014/07/17
  :: [주장] 최저임금 현실화와 제대로 된 결정을 위해서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2014/05/14
  :: [주장] <입장서> 최저임금 제도개선도 대중투쟁으로만 가능하다! 2012/07/08
  :: [주장] 최저임금 투쟁, 이제는 변해야 한다! 2010/07/15
  :: [주장] 최저임금현실화, 생활임금쟁취! 서울실천단 활동이 시작됐다! 2010/06/22
  :: [자료] [발제] 반빈곤투쟁으로서 최저임금 투쟁 2010/05/22
  :: [주장] 저임금 노동자 가계부 조사 결과(민주노총 3. 11) 2010/03/24
  :: [주장] 저임금 * 불안정노동자를 무한 확산하는 최저임금법 개악은 즉각 폐기되어야 한다! 2008/12/01
  :: [주장] 2007년 최저임금 투쟁 평가와 이후 투쟁 제안 2007/07/12
  :: [주장] 신자유주의 빈곤화에 맞선 저임금 노동자들의 투쟁! 2007/06/19
  :: [자료] 최저임금투쟁발전방향에 대한 토론회 2005/08/31
  :: [주장] 빈곤층 우롱하는 최저임금위원회를 규탄한다. 2005/06/30
  :: [자료] 04년 충남지역 최저임금 실태조사 결과 2005/06/08
  :: [자료] 민주노동당 최저임금 관련 정책자 2005/05/31
  :: [자료] 최저임금 최저생계비 공동투쟁이 필요한 이유 2004/07/17
  :: [주장] <성명> 2004년 최저임금투쟁, 무능과 무책임으로 변명할 수 없다. 2004/06/29
  :: [자료] 최저임금 최저생계비현실화 공동투쟁단 자료집 2004/06/21
  :: [자료] "제발 일한만큼만이라도 월급주세요" 2004/04/02
  :: [소식] 최저임금 위반 단속 지지부진 2003/11/27
  :: [이슈] 취약근로자 보호한다더니 저임금 노동자 다 죽이려는가? - 최저임금제 개악 시도를 규탄한다 2003/10/07
  :: [자료] 9/25 최저임금토론회 최임위노동연구원 발제문 2003/09/30
  :: [수요집회] 성수동 중소영세사업장 노동자와 함께 한 135차 수요집회 2003/07/18
  :: [수요집회] 성수동 저임금 노동자와 함께 한 제 134차 수요집회 2003/07/09
  :: [자료] [펌] 최저임금제도 무엇이 문제인가? 2003/06/29
  :: [주장] 최저임금위원회 공익위원의 중립성, 제도개선으로 보장해야 2003/04/28
  :: [소식] 조달청이 최저임금법 위반의 주범이다 2002/12/12
  :: [질라라비] 김대중 정부는 더 이상 가난한 민중들을 기만하지 말라! 2002/11/16
  :: [질라라비] 왜! 최저임금 현실화 투쟁인가? 2002/11/16
  :: [소식] 최저임금 위반사업장 감시단 발족 2002/10/30
  :: [자료] [펌]경기수원 최저임금실태조사 자료 2002/09/25
  :: [질라라비준비호] "[특집]최저임금 현실화 투쟁, 시기집중 투쟁만으로는 부족하다" 2002/08/19
  :: [수요집회] 87차 수요집회 모든 사회구성원의 기본생활을 보장하라! 2002/08/06
  :: [주장] 인상률에 집착하지 않는, 최저임금현실화투쟁을 조직하자 2002/07/05
  :: [질라라비준비호] 김대중정부는 더 이상 가난한 자들을 기만하지 말라! 2001/12/15

Prev
   [기자회견문] 건설노조 공안탄압 분쇄와 원청 단협 인정을 위한 공동대책위

철폐연대
Next
   [소책자] 차라리 노예제도를 부활시키자고 해라 - 파견법 확대 저지

김혜진


Copyright 1999-2025 Zeroboard / skin by Zetyx